공간정보데이터 구축을 통한 송전탑 파워라인 복원 관리 유효 거리 산출
Estimation of Effective Distance for Power Line Restoration Management of Transmission Tower through Spatial Data Construction



송전탑 항공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시 파워라인과 같은 길고 얇은 데이터를 정밀하게 구축하여
송전탑 주변부 수목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변화도를 수치화 할 수 있는 관리 유효 거리 데이터 산출
루틴한 시간적 변화와 태풍등 자연 현상으로 인한 변화점등 디지털 기록 관리를 통한 지속적 데이터 누적
When constructing transmission tower aerospace information data, long and thin data
such as power lines are accurately constructed Calculation of managed effective distance data that can monitor
vegetation changes in trees around the transmission tower and quantify the degree of change
Continuous data accumulation through digital record management,
such as changes caused by routine time changes and natural phenomena such as typhoons



도심내 주요 건설 공정에 대한 3년간 항공 데이터 누적 구축
Accumulated aviation data for three years for major construction processes in the city center



3년간 이루어진 건설 공정을 항공 누적 데이터 구축 진행
다양한 로케이션 데이터 확보를 통한 건설 공정 기록 비교 분석 데이터 구축
도심 번화가 내 안전 무인항공(드론) 운용 및 루틴화 된 장기간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
Accumulated aviation data build through three years of constru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Records by Securing Various Location Data
Safe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operation and routine long-term data construc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디지털트윈 공간정보 데이터 활용 제주시 버스전용차로 구간 현황 조사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Bus-Only Lane in Jeju City Using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3년간 이루어진 건설 공정을 항공 누적 데이터 구축 진행
다양한 로케이션 데이터 확보를 통한 건설 공정 기록 비교 분석 데이터 구축
도심 번화가 내 안전 무인항공(드론) 운용 및 루틴화 된 장기간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
Accumulated aviation data build through three years of constru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Records by Securing Various Location Data
Safe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operation and routine long-term data construc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공간정보데이터 활용 재선충 피해목 상황 분석 및 위치 파악 관리
Analysis and location management of the damaged tree of re-worm using spatial data



제주도 서귀포시 공원녹지과 협업을 통한 재선충 피해목 상황 파악 및 위치 파악을 위한 연구
제주 고근산 및 한라산 일대 드론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재선충 피해목 및 백록담 남벽 특정 및 GPS 위치 산출
오차범위 10cm 이내 위치 파악을 통해 현장 접근 루트 계획 수립
산림조사 인원 직접 수행 대비 40배 시간 절약 효과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Location of Reworm Victim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Park Greenery in Seogwipo, Jeju Island
Construction of drone spatial information data around Gogeunsan Mountain and Hallasan Mountain in Jeju,
specification of trees damaged by re-worm and calculation of GPS location on the southern wall of Baeknokdam
Establish a site access route plan by identifying the location within the error range of 10cm
The effect of saving 40 times more time than direct forest survey personnel



문화재 불사리탑 디지털 트윈 데이터 복원
Restoration of Digital Twin Data at the Cultural Heritage Fire Tower



디지털 트윈 문화재 복원 구축 작업은 문화재의 3D 모델, 재료, 구조, 역사적 정보 등을 기록하고,
이를 통해 문화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원 및 보존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됩니다.
상태 모니터링 및 손상 발견 및 복구, 복원 및 보존 계획 수립, 정보와 지식 공유, 교육 및 홍보등
문화재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보존을 도모합니다
The digital twin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work records 3D models, materials, structures,
and historical information of cultural assets, Through this, it is used to monitor the statu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o establish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plans. Health monitoring and damage detection and recovery,
restoration and retention plann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training and publicity, etc
Increase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and promote sustainable preserv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