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라산 백록담 일대 암석 붕괴 위험지역에 관한 위치 현황 파악을 위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Status of Risk Areas of Rock Collapse in Hallasan Mountain Baeknokdam

백록담001.png
백록담002.png
백록담003.png

제주특별자치도 및 거창 화강석 연구센터 주관으로,

한라산 백록담 일대 암석 붕괴 위험 지역에 관한 위치 현황 파악을 위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했습니다.
현장에서 특정 위치 파악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위치 그리드 맵을 확인했습니다.
인력이 직접 확인하며 위치를 파악하기 힘든 지역에 대한 데이터 생성 및 효과적 분석 가능성을 검토했습니다.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Geochang Granite Research Center,

spatial information data was established to identify the location status of the rock collapse risk area

around Hallasan Mountain Baeknokdam.
We checked the location grid map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for specific location in the field.
We reviewed the possibility of data generation and effective analysis for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personnel to identify and locate.

백록담004.png
백록담005.png
백록담006.png

건축물 역설계 분석 연구 / 대구 엑스코 디지털트
A Study on the Reverse Design Analysis of Buildings / Daegu EXCO Digital Twin

대구 메타버스 3D 데이터 제작 용역 (주)대오비전과 협업.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
건축물의 구조, 형태, 재질 등의 정확한 구현 및 분석을 통하여 역설계 모델링의 레퍼런스로 사용.
빠르고 쉽게 3D모델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비용절감에 큰 도움이 됩니다.

Daegu Metaverse 3D Data Production Service Co., Ltd. Collaborates with Daeo Vision Co., Ltd. 
Building Digital Twin Spatial Data
Through accurate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shape, material, etc. of the building
Used as a reference for reverse design modeling.
3D models can be created quickly and easily, which can help reduce costs.

첨단 의료 복합단지 디지털 트윈 데이터 구축
Building Advanced Medical Complex Data

첨단 의료 복합 단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합니다.
생태계의 구성 요소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여 첨단 의료 복합단지 생태계를 시각화 하고 분석.

Analyz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dvanced medical complex ecosystem.
Implementing the components of an ecosystem into digital twins.
Visualize and analyze advanced healthcare complex ecosystems using digital twin.

도심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데이터 구축
Development of Digital Twin Space Data in the City

제주특별자치도 협업을 통한 제주시 도심 실증지 디지털 트윈 공간 정보 데이터 구축
드론 공간 정보 데이터 생성을 통한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의 성공적 수행  

디지털트윈 공간정보데이터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 실증
실증된 기술 평가를 통한 안전성 및 효율성 확인

Construction of Digital Twin Space Information Data for Demonstration Site in downtown Jeju

through collaboration with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data that successfully carries out drone regulation sandbox business through drone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Demonstrate new business models and technologies
Demonstrated technology assessment to ensure safety and efficiency

지질학 분석을 위한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구축. 수월
Construction of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for geological analysis. Suwolbong Peak

재단법인 거창화강석연구소와 협업하여 수월봉 지질학 분석을 위해 디지털트윈 공간정보를 구축했습니다.

디지털트윈 공간정보는 수월봉의 지질학적 특성, 지형, 지질구조, 지질학적 위험 요소 등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위험요소가 존재하는 자연환경의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구축은 지질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위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n collaboration with the Geochang Hwagang Research Institute,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analysis of Suwolbong geology.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analyze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topography, geological structure,  and geological hazards of Suwolbong Peak.
The establishment of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in a natural environment

where risk factors exist will help to underst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vent risks.

대구 혁신도시 기업단지 상권 분석을 위한 디지털트윈
Digital Twin for Commercial District Analysis of Daegu Innovative City Enterprise Complex

대구 혁신도시 기업단지 상권이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트윈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디지털트윈을 활용하여 상권의 유동인구, 상권 밀집도, 상권 특성, 교통 흐름, 주차 여건, 공원, 녹지 공간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트윈의 시각화를 활용하여 다양한 컨텐츠 개발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The commercial district of Daegu Innovation City

Enterprise Complex conducted digital twin work to analyze its structure and function.
Using digital twin, you can analyze the floating population, density of commercial districts,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districts, traffic flow, parking conditions, parks, and green spaces.
It can also be used for various content development by utilizing the visualization of digital twi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