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공간정보데이터 구축을 통한 송전탑 파워라인 복원 관리 유효 거리 산출
Estimation of Effective Distance for Power Line Restoration Management of Transmission Tower through Spatial Data Construction

송전탑 항공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시 파워라인과 같은 길고 얇은 데이터를 정밀하게 구축하여

송전탑 주변부 수목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변화도를 수치화 할 수 있는 관리 유효 거리 데이터 산출

루틴한 시간적 변화와 태풍등 자연 현상으로 인한 변화점등 디지털 기록 관리를 통한 지속적 데이터 누적

When constructing transmission tower aerospace information data, long and thin data

such as power lines are accurately constructed Calculation of managed effective distance data that can monitor

vegetation changes in trees around the transmission tower and quantify the degree of change

Continuous data accumulation through digital record management,

such as changes caused by routine time changes and natural phenomena such as typhoons

도심내 주요 건설 공정에 대한 3년간 항공 데이터 누적 구
Accumulated aviation data for three years for major construction processes in the city center

3년간 이루어진 건설 공정을 항공 누적 데이터 구축 진행

다양한 로케이션 데이터 확보를 통한 건설 공정 기록 비교 분석 데이터 구축

도심 번화가 내 안전 무인항공(드론) 운용 및 루틴화 된 장기간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

Accumulated aviation data build through three years of constru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Records by Securing Various Location Data
Safe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operation and routine long-term data construc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디지털트윈 공간정보 데이터 활용 제주시 버스전용차로 구간 현황 조사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Bus-Only Lane in Jeju City Using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3년간 이루어진 건설 공정을 항공 누적 데이터 구축 진행

다양한 로케이션 데이터 확보를 통한 건설 공정 기록 비교 분석 데이터 구축

도심 번화가 내 안전 무인항공(드론) 운용 및 루틴화 된 장기간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

Accumulated aviation data build through three years of constru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Records by Securing Various Location Data
Safe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operation and routine long-term data construc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공간정보데이터 활용 재선충 피해목 상황 분석 및 위치 파악 관리
Analysis and location management of the damaged tree of re-worm using spatial data

제주도 서귀포시 공원녹지과 협업을 통한 재선충 피해목 상황 파악 및 위치 파악을 위한 연구

제주 고근산 및 한라산 일대 드론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재선충 피해목 및 백록담 남벽 특정 및 GPS 위치 산출

오차범위 10cm 이내 위치 파악을 통해 현장 접근 루트 계획 수립

산림조사 인원 직접 수행 대비 40배 시간 절약 효과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Location of Reworm Victim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Park Greenery in Seogwipo, Jeju Island
Construction of drone spatial information data around Gogeunsan Mountain and Hallasan Mountain in Jeju,

specification of trees damaged by re-worm and calculation of GPS location on the southern wall of Baeknokdam
Establish a site access route plan by identifying the location within the error range of 10cm
The effect of saving 40 times more time than direct forest survey personnel

문화재 불사리탑 디지털 트윈 데이터 복
Restoration of Digital Twin Data at the Cultural Heritage Fire Tower

디지털 트윈 문화재 복원 구축 작업은 문화재의 3D 모델, 재료, 구조, 역사적 정보 등을 기록하고,

이를 통해 문화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원 및 보존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됩니다.

상태 모니터링 및 손상 발견 및 복구, 복원 및 보존 계획 수립, 정보와 지식 공유, 교육 및 홍보등

 문화재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보존을 도모합니다

The digital twin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work records 3D models, materials, structures,

and historical information of cultural assets, Through this, it is used to monitor the statu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o establish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plans. Health monitoring and damage detection and recovery,

restoration and retention plann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training and publicity, etc

 Increase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and promote sustainable preservation

무인항공(드론) 및 근거리 통신 융합 방목형 축산 관
Unmanned aerial (drone) and NFC convergence grazing type livestock management

산지생태축산의 방목형 가축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목형 축산관리  ICT 기술 적용 시스템 개발

근거리 통신 장치 (비콘)을 이표에 부착하여 개체 방목 및 무인항공(드론) 자율비행을 통한 근거리 통신 신호 누적 파악

개체 수량 및 총량 유무 파악, 위치 파악, 이동 경로 파악등 경제적, 생산적 축산관리 체계 구축, 실무 실증

Development of Grazing-type Livestock Management ICT Technology Application System to Improve Grazing-type

Livestock Productivity in Mountain Ecological Livestock
Attaching NFC devices (beacons) to this table to identify accumulated NFC signals

through object grazing and unmanned aerial (drone) autonomous flight
Establishment of an economic and productive livestock management system,

such as identifying the quantity and total amount, location, and route of movement, and practical demonstration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데이터의 글로벌 좌표값 적용 

위치기반 증강현실 및 오클루전 기술 구현 개발

Application of Global Coordinate Value of Digital Twin Spatial Data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and Ocruition Technology

3차원 정밀 공간정보 데이터 적용 위치기반 양방향 증강현실(AR) 정보제공 시스템 개발

디지털화된 현실세계의 3차원 공간정보의 데이터와 실제 현실세계를 정합하여 현실 속 특정 지점에 가상 데이터를

정합. 사용자는 증강현실을 통해 현실세계와 정합된 가상 데이터를 경험

Development of a bidirectional augmented reality (A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where 3D 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data is applied It matches the data of the digitized real world's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ith the real world's virtual data at a specific point in the real world Matching.

Users experience virtual data that matches the real world through augmented reality

3차원 정밀 공간정보 데이터 적용 위치기반 양방향 증강현실(AR) 정보제공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AI) 학습데이터 및 지형, 지물 선별 기술 개발

지형, 지물의 오클루전 데이터 자동 생성 및 변환기술 개발을 통하여

가상 세상에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가 실제 건물 보다 뒤에 생성될 경우 실제 건물에 가려지게 보여지는 기술

Development of a bidirectional augmented reality (A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where 3D 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data is applie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learning data, terrain, and feature selection technology
A technology that appears to be obscured by a real building when digital data generated in a virtual world is generated after a real build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generation and conversion of terrain and objects

MYLANDY 부동산/토지 현황 데이터 제공
Provide MYLANDY real estate/land status data

토지 자산의 관리, 거래, 개발 등의 진행에 따른
절차상의 번거로움과 전문적 자료 취득의 어려움에 대한 데이터기반 솔루션이 필요하며,
DAXIB는 이 문제를 부동산/토지 현황 데이터 제공 및 공급 O2O 프롭테크 서비스 플랫폼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land asset management, transaction, development, etc
Data-driven solutions are needed for procedural hassle and difficulty in obtaining professional data,
DAXIB identifies this issue as a property/land status data delivery and supply O2O proptech service platform

태양광 패널 위치기반 공간정보데이터 활용 연동 관리
Interworking management using spatial information data based on solar panel location

20210906_IWXR_태양광_APP연출화면_Final_Ver.1.1 (0;00;42;05).jpg
20210906_IWXR_태양광_APP연출화면_Final_Ver.1.1 (0;00;19;10).jpg
20210906_IWXR_태양광_APP연출화면_Final_Ver.1.1 (0;00;47;18).jpg

제주 태양광 발전단지 공간정보데이터 구축 및 플랫폼 연동을 통하여

태양광 패널의 전력량 및 데이터 감시, 관리 그리고 에너지 데이터를 연동하여

현장과 오피스 양방향 관리 솔루션

A two-way management solution for the field and office by linking the amount of power,

data monitoring, management, and energy data of the solar panel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platform

linkage in Jeju solar power generation complex

20210906_IWXR_태양광_APP연출화면_Final_Ver.1.1 (0;00;55;06).jpg
20210906_IWXR_태양광_APP연출화면_Final_Ver.1.1 (0;00;48;11).jpg
20210906_IWXR_태양광_APP연출화면_Final_Ver.1.1 (0;00;37;18).jpg

AR Golf Yardage Book 적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데이터 적용
Application of Digital Twin Space Information Data for AR Golf Yardage Book Application

골프 라운딩의 새로운 디지털 경험

디지털트윈 공간정보데이터를 활용하여 골프 라운딩 플레이어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매칭되는 골프라운딩 기술

플레이어의 샷을 기록하여 18홀 라운딩을 디지털 야디지 북으로 적용

A New Digital Experience in Golf Rounding
Golf rounding technology that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golf rounding player

using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data
Record a player's shot and apply 18-hole rounding to a digital yardage book

수원화성 미디어 아트쇼를 위한 디지털트윈
Digital Twin for Suwon Hwaseong Media Art Show

SHUDDER에서 진행한 미디어아트쇼 설계를 위한 공간정보 기초 데이터 제작을 수행하였습니다.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인 방식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화홍문의 벽면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매력적인 관광지로 만드는데 기여합니다

We produced basic data on spatial information for the media art show design conducted by SHUDDER.

It is a work that expresses history and culture in a modern way,

and LED lights are installed on the walls of Hwahongmun Gate to project images,

contributing to making it an attractive tourist destination. Increase the influx of tourists.

Contribute to preserving and inheriting history and culture. It contributes to developing into a world-class tourist destination

농작물 생산량 예측 솔루션 개발을 위한 기술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Crop Production Prediction Solution

농작물 생산량 예측 솔루션

농업 생산량을 조절하고 식량 안보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상, 토양, 작물, 병해충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계학습,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될 수 있습니다.

농업 생산성 향상과 식량 안보 확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crop production forecasting solution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agricultural production and securing food security.
Various factors such as weather, soil, crops, and pests should be considered.
It can be developed using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ecuring food security.

고화질 정사 영상                      수치 표고 모델                                   식생지수                             식생 면적 추출      

농작물 생육상태 확인을 위한 분광 촬영 & 데이터 분석
Spectroscopy and Data Analysis to Check the Growth Condition of Crops

분광 촬영은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수분상태 확인: 식물의 수분 상태가 낮으면 수분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영양 상태 확인: 식물의 영상 상태가 좋지 않으면 생산량이 감소하고 병에 걸리기 쉽습니다.

스트레스 수준 확인: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성장이 느려지고 생산량이 감소합니다.

Spectroscopy is a powerful tool that can be used to check the growth status of crops.
Moisture Check: Low moisture levels in plants are a sign of moisture stress.
Nutritional status check: poor imaging of plants reduces production and makes them susceptible.
Check out stress levels: When plants are stressed, growth slows and production decreases.

철도 설계 계획 및 주변환경 검토를 위한 디지털트윈
Railway Design Review Digital Twin

대구-영천구간 26km / 이천-문경구간 27.5km 공간정보 구축 용역을 수행하였습니다.

총 10,000장 이상의 촬영을 수행하고 프로세싱을 진행했습니다.

사전계획 단계에 상세한 미션 플랜을 통하여 장거리 매핑의 문제와 고층빌딩 등 지장물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26km between Daegu and Yeongcheon / 27.5km between Icheon and Mungyeong

performe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ervice.
A total of more than 10,000 shots were taken and processed.
We solved the problem of long-distance mapping and interference with obstacl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through detailed mission plans in the pre-planning stage.

태양광 패널 디지털 트윈
Solar Panel Digital Twin

주식회사 덱시브는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으로 태양광 발전 단지 운영 기업의

26개 지역 태양광 패널 검사를 위한 공간정보 데이터 취득을 진행했습니다.

잠재적 입지 지역 조사, 경제적 타당성 분석, 환경적 영향 평가, 태양광 발전 사업자와 이해 관계자들의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Decibe, Inc. is a data voucher supplier and a solar power plant operator

The acquisition of spatial information data for inspection of solar panels in 26 regions was conducted.

Survey of potential locations,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olar operators and stakeholders

It can help you make decisions.

한라산 백록담 일대 암석 붕괴 위험지역에 관한 위치 현황 파악을 위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Status of Risk Areas of Rock Collapse in Hallasan Mountain Baeknokdam

제주특별자치도 및 거창 화강석 연구센터 주관으로,

한라산 백록담 일대 암석 붕괴 위험 지역에 관한 위치 현황 파악을 위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했습니다.
현장에서 특정 위치 파악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위치 그리드 맵을 확인했습니다.
인력이 직접 확인하며 위치를 파악하기 힘든 지역에 대한 데이터 생성 및 효과적 분석 가능성을 검토했습니다.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Geochang Granite Research Center,

spatial information data was established to identify the location status of the rock collapse risk area

around Hallasan Mountain Baeknokdam.
We checked the location grid map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for specific location in the field.
We reviewed the possibility of data generation and effective analysis for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personnel to identify and locate.

건축물 역설계 분석 연구 / 대구 엑스코 디지털트
A Study on the Reverse Design Analysis of Buildings / Daegu EXCO Digital Twin

대구 메타버스 3D 데이터 제작 용역 (주)대오비전과 협업.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
건축물의 구조, 형태, 재질 등의 정확한 구현 및 분석을 통하여 역설계 모델링의 레퍼런스로 사용.
빠르고 쉽게 3D모델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비용절감에 큰 도움이 됩니다.

Daegu Metaverse 3D Data Production Service Co., Ltd. Collaborates with Daeo Vision Co., Ltd. 
Building Digital Twin Spatial Data
Through accurate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shape, material, etc. of the building
Used as a reference for reverse design modeling.
3D models can be created quickly and easily, which can help reduce costs.

첨단 의료 복합단지 디지털 트윈 데이터 구축
Building Advanced Medical Complex Data

첨단 의료 복합 단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합니다.
생태계의 구성 요소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여 첨단 의료 복합단지 생태계를 시각화 하고 분석.

Analyz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dvanced medical complex ecosystem.
Implementing the components of an ecosystem into digital twins.
Visualize and analyze advanced healthcare complex ecosystems using digital twin.

도심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데이터 구축
Development of Digital Twin Space Data in the City

제주특별자치도 협업을 통한 제주시 도심 실증지 디지털 트윈 공간 정보 데이터 구축
드론 공간 정보 데이터 생성을 통한 드론 규제 샌드박스 사업의 성공적 수행  

디지털트윈 공간정보데이터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 실증
실증된 기술 평가를 통한 안전성 및 효율성 확인

Construction of Digital Twin Space Information Data for Demonstration Site in downtown Jeju

through collaboration with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gital twin spatial information data that successfully carries out drone regulation sandbox business through drone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Demonstrate new business models and technologies
Demonstrated technology assessment to ensure safety and efficiency

다자간 VR 6DoF 체험 공간 조성을 위한 디지털 트윈 데이터 제작
Digital Twin Data Creation for Multilateral VR 6DoF Experience Space

제주 작가의 작품을 3D 가상공간에 투영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화 작업 진행

 “Island:섬” 을 주제로한 다양한 장르의 아트 콘텐츠 작품을 첨단 VR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공간기반 디지털 

  작품으로 제작 현실세계에서 경험할 수 없는 가상의 공간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섬”을 주제로한 작품 전시를 경험

             제주지역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장르의 개인 아트 콘텐츠 작가들과의 협업과 상생을 통한 콘텐츠의 확장

             다양한 공간에서 즉시 적용이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 시스템제작을 통해 전시관/체험관의 유휴시설 적극활용

Digital twinning work to project Jeju artist's work into a 3D virtual space
New space-based digital by combining art content works of various genres

under the theme of "Island: Island"  with cutting-edge VR technology 
  Produced as a work Experience exhibition of "island"-themed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in a virtual space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real world
             Expansion of content through collaboration and co-prosperity

with individual art content artists of various genres active in the Jeju area
             Active utilization of idle facilities in exhibition halls/experience centers by creating content systems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various spaces

bottom of page